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효고현 제4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효고현 제4구
兵庫県第4区
||
파일:shuinsen_Hyogo4.svg
선거인 수421,086명 (2021)
상위 도도부현효고현
하위 행정구역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국회의원

후지이 히사유키



1. 개요[편집]


효고현 중부의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의 후지이 히사유키(藤井比早之).


2. 상세[편집]


고베시와 교외지역, 그리고 효고현의 농촌지역까지 포함한 도농복합선거구이다. 딱히 큰 공통점이 없는 지역들을 남북으로 길죽하게 한 선거구로 묶은 느낌이 난다. 중대선거구시절부터 이노우에 기이치 전 의원의 정치적 기반이였고, 당을 옮기면서도 줄곳 당선되었다.

이후 2009년 제45회 총선에서 민주당이 전국적 압승속에 이 지역구에서도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후 자민당이 탈환에 성공했다. 최근 세 번의 선거에서는 자민당 후지이 의원이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카토군, 미노군,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이노우에 기이치110,873표1위


49.4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코니시 슌이치65,224표2위


29.1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네다 미네오24,649표3위


11.00%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요시무라 세이지23,361표4위


10.42%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카토군, 미노군,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보수당 로고1.png이노우에 기이치143,441표1위


[a]
64.90%당선
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세오 가즈시51,488표2위


23.29%낙선
파일:덕주회.png우오이 켄이치26,103표3위

자유연합

11.81%낙선
유효표 수219,579투표율
유권자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카토군, 미노군,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보수신당 로고.png이노우에 기이치127,330표1위


[a]
55.3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카하시 쇼이치81,909표2위
35.6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모토 준지20,649표3위
8.98%낙선
유효표 수189,204투표율
유권자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노우에 기이치150,580표1위
56.0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카하시 쇼이치97,074표2위
36.1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가이 오사무21,202표3위
7.89%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카하시 쇼이치142,684표1위
51.57%당선[1]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노우에 기이치103,336표2위
37.35%낙선[2]
이시하라 쇼조20,924표4위
7.5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사토 루이5,299표5위
1.96%낙선
토야마 다카시4,427표6위
1.60%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65.96%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지이 히사유키104,202표1위
[3]43.07%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시미즈 다카유키78,565표2위
[4]32.48%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카하시 쇼이치43,386표3위
[5]17.9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츠모토 카즈오15,769표5위
6.52%낙선
유효표 수174,668표투표율
58.04%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지이 히사유키111,544표1위
[6]54.67%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나가이 히사야62,506표2위
30.6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야시 마사히토29,990표3위
14.70%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49.80%
선거인 수425,316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후지이 히사유키
(藤井比早之)
자유민주당 120,189
(57.9%)
1위당선공명당 추천
노구치 다카마쓰
(野口威光)
희망의 당37,344
(18.0%)
2위낙선
사토 야스키
(佐藤泰樹)
무소속26,635
(12.8%)
3위낙선
오스기 데쓰오
(大椙鉄夫)
일본 공산당23,513
(11.3%)
4위낙선
유효표 수207,681투표율 49.64%
유권자 수431,484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4구
{{{#fff
고베시 니시구, 니시와키시, 미키시, 오노시, 카사이시,
카토시, 타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지이 히로유키112,810표1위
50.04%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아카기 마사유키59,143표2위
26.24%비례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이마이즈미 마오53,476표3위
23.72%낙선
유효표 수225,429표투표율
54.69%
선거인 수421,086인

현역 자민당 후지이 히사유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은 디자이너 출신인 이마이즈미 마오 후보가 출마한다. 지난 총선과 달리 공산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서 리버럴 및 좌파가 이마이즈미 후보로 단일화되었다.

일본 유신회는 IT회사 대표 출신인 아카기 마사유키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후지이 히사유키 후보가 승리했다. 3자대결이었고 유신회의 돌풍이 효고현까지 퍼졌음에도, 과반을 넘게 득표하며 압승했다. 일본 유신회 아카기 마사유키 후보는 큰 표차로 패했다. 하지만 유신회가 비례대표 득표에서도 크게 선전한 덕분에 석패율제를 통해 구제를 받아 초선 의원이 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후지이 히로유키 의원이 다시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유신회에서도 아카기 마사유키 의원이 다시 공천받았다.

입헌민주당에서도 이마이즈미 마오 후보가 다시 출마한다.

공산당에서는 히비 유코 후보가 출마한다.

[a] A B

,

추천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